목록
반응형
정보 (72)
스토리이알피

뿌리를 황정, 지절, 황지, 여위, 위유, 죽절황, 옥죽 등으로 불리며 약용한다. 가을이나 이른 봄에 채취하여 줄기와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응달에서 말리거나 수증기로 찐 뒤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며 약간 차고 독이 없다. ■약효 : 강장, 강정, 치한, 해열에 효능이 있다. 혈압, 혈당을 낮추는 작용을 하며 허약체질에 좋고 폐결핵, 마른기침, 구강건조, 당뇨병, 그리고 심장을 튼튼하게 하여 심근경색, 심장쇠약, 협심증, 빈뇨증 등에 좋다. 항균작용이 있어 무좀에도 효험이 있다. ■용법용량 : 하루 6-12g을 달이거나 환으로 가루 내어 먹는다. 장복해야 효험을 볼 수 있다 ● 얼굴, 등, 겨드랑이에 생긴 기미 : 말린 둥굴레에 꿀을 발라 약간 누렇게 볶아서 부드럽게 가루 내어 한 ..

10월 중순-3월 사이 필요할 때 적당량을 캐어 물로 씻어서 즉시 생것으로 껍질째 먹는 것이 좋다. 껍질이 매우 얇아 건조한 공기에 노출하면 금방 주름이 지고 속살이 파삭해진다.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다. 돼지감자에 풍부하게 들어있는 이눌린은 칼로리가 낮은 다당류로서 전분을 함유하지 않으며 위액에 소화되지 않고 분해되어도 과당으로 밖에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혈당치를 상승시키지 않으면서 인슐린의 역할을 한다. 즉, 혈중에 흡수되지 않고 배출된다. 그리고 식사와 함께 뚱딴지를 섭취하게 되면 함께 섭취한 내용물을 소장에서 당질의 흡수를 지연시키는 작용이 있어서 인슐린의 분비량이 적어도 되기 때문에 피곤해진 췌장을 쉬게 할 수가 있어서 췌장의 작용이나 인슐린의 작용을 서서히 정상적으로 되돌려놓는 효과도 기대할 ..

윤석열 사건 정리 [검찰의 윤석열 총장 의혹 사건 정리 - 외압, 무마, 가족 관련] 법무부 장관 추미애와 검찰총장인 윤석열의 힘겨루기를 가지고 진보와 보수 진영이 싸우는 듯한 형세를 이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의혹이 사실일지라도, 그것이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윤석열 총장의 의혹으로 제기된 것들이 과거 보수정권에서는 당연한 듯이 저지르던 불법이었다는 것입니다. 만약 윤 총장의 의혹이 사실이 아닐지라도, 이제는 법을 집행하는 사람이 법을 자신의 잣대를 가지고 마음대로 할 수 없게 된 시대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전에는 없던 시대가 된 것입니다. 윤석열 총장 의혹 사건 정리 검찰 총장은 법의 집행을 관리하고 지휘합니다. 과거 보수독재 정권에서 워낙 정치권이 검찰 업무에 관여했기에, 검찰의 독립성을 보장하려는..

백색소음 [백색소음이란 뜻 - 컬러소음과 백색소음의 효과, 차이, 유래] 컬러소음의 뜻은 우리가 흔히 소음이라고 부르는 잡음입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지속적인 컬러소음에 짜증을 느끼게 됩니다. 백색소음의 뜻은 넓은 음폭의 일상 잡음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지속적인 백색소음이란 것에 안정적 효과를 느끼게 됩니다. 그 유래가 무엇이길래 이런 차이가 날까요? 소음, 잡음에도 종류가 있다는 것에 대한 설명을 시작합니다. 백색소음 뜻 - 유래와 이유 아기에게 청소기 소음을 들려주면 오히려 편안해한다는 연구가 있었습니다. 백색소음이란 뜻을 잘 이해할 수 있는 사례입니다. 그리고 어떤 연구에서는 오히려 자연의 소리는 아기에게 별 효과가 없다고도 합니다. 어른들은 도무지 이해할 수 있는 결과일 것입니..

과연 인간은 선천성 난치병을 고칠 수 있을까요? 이것은 인류에게 크나큰 고민이었습니다. 아직은 초보 단계이지만, 여기에 실마리가 생겼습니다. 그것은 '유전자 가위'란 기술입니다. 공상과학 영화에서는 오히려 공포감을 주는 얘기지만, 우리의 난치병 공포 또한 이것이 없으면 해결되지 않는 문제입니다. 최근 크리스퍼 캐스9 프라임이라는 기술이 관심을 받습니다. 이를 개기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의 원리를 이해하는 시간을 가집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 원리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의 원리는 '크리스퍼'라는 DNA 서열과 '캐스9'라는 효소에 있습니다. 이것을 미세조작기 장치를 이용해서 세포에 찔러 넣어서 사용합니다. 그러나 식물 세포는 막이 두껍기 때문에 세균에 넣어서 침투시키기도 합니다. 이 유전자 가..

낙태죄 [낙태죄 입법예고 - 낙태 허용 개월 수, 합법화 기준 변경] 낙태죄는 계속 존재하게 되었지만, 그 허용 단계는 점점 넓어지고 있습니다. 2020년 정부는 새 낙태죄 입법예고에서 제외되는 범위를 더 넓혔습니다. 여기에는 찬반의 논쟁이 치열합니다. 그런데 그 의견을 들어보면 양쪽이 다 옳다는 것입니다. 원치 않는 임신으로 큰 타격을 입는 산모도 보호해야 하고, 산업화와 성 개방으로 아기의 생명에 대한 경시 풍조가 늘어나는 것을 막는 것도 필요합니다. 아래는 낙태죄의 현재와 새 법의 내용, 낙태의 통계, 양쪽의 입장 등을 생각해 보기 위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낙태죄 합법화와 불법의 경계 '낙태죄'란 뜻은 "배 속의 아기를 죽이거나 죽게 만드는 것에 대한 죄"를 말합니다. 사전에서 찾아보..

[혈장 치료제 원리, 뜻 - 코로나19 치료제 개발될까?] - 현재의 팬데믹 상황 -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 혈장치료제란 뜻 - 혈장치료제 원리 - 개발 문제와 논란 부분 이 글은 위의 주제로 하나씩 살펴보고 있습니다. 과학지식이 적을 경우, 2번째 단을 이해한 후 3번째 단을 보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제와 백신의 현황과 함께 혈장을 어떻게 이용하는지, 문제는 없는지를 설명합니다.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 혈장 치료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6개월 후, 공식적인 코로나19 사망자 수는 44만 명입니다. 그러나 아직도 코로나19 치료제는 물론 백신도 개발되지 않고 있습니다. 본질적으로 완벽한 바이러스 치료제는 만들 수가 없습니다. 바이러스는 증식 과정이 불안정해서 계속 돌연변..

홍콩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중국은 홍콩 보안법을 관철시키려고 하고, 미국은 홍콩의 특별 지위를 취소하겠다고 공격하고 있습니다. 홍콩 시위 원인과 배경은 중국과의 역사를 알아놔야 이해가 쉽습니다. 중국은 왜 홍콩을 강제로 진압하려고 하고, 미국은 왜 홍콩을 지원하려고 하는 것일까요? 홍콩 사태 정리를 하며 과거부터 현재와 미래까지를 흩어보고 합니다. 홍콩사태 정리 1 - 우산혁명과 홍콩시위 원인 약 150년 전의 홍콩은 적은 어민들이 살고 있던 마을이었습니다. 그러던 중, 영국은 중국과의 무역에서 손해를 보자 아편을 팔아서 메꾸는 나쁜 방법으로 중국을 공략했습니다. 그러자 중국은 2만 상자가 넘는 아편을 몰수하며 대항했습니다. 그리고 1839년 그로 인해서 '아편전쟁'이 일어났..

네덜란드 구급차재단은 암 말기 환자의 소원을 들어주는 단체라고 합니다. 수억 원의 비용을 도와주는 사람들도 있고, 아무 대가 없이 자원봉사로 나서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말기 암환자의 소원은 소박하게도 집에 가보거나 유원지, 미술관, 박물관 같은 데서 가족과 나들이하는 시간을 가지는 것입니다. 여기에 케이스 펠드블이라는 사람이 앰블런스재단을 세우고 자원봉사에 헌신하고 있다고 합니다. 감동적이고 뭉클한 유럽의 작은 소원 이루기 재단을 소개합니다. 말기 암환자의 소원을 들어주는 재단 말기 암 환자의 아픔은 신체의 고통뿐이 아닙니다. 엄청난 병원비 걱정으로 머리가 아프고, 병간호에 지친 가족 때문에 마음도 아픕니다. 더구나, 더 이상은 세상으로 나가 볼 수 없다는 상실감 또한 아픕니다. 이런 점에서, 말기 암..

세종대왕은 칭찬과 비판을 동시에 생각한다고 해도 출중한 인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세금 문제를 해결하려던 중에 세종대왕은 최초의 여론조사를 실시했습니다. 무려 17만 명의 백성이 참여한 여론조사를 통해 세종은 비로소 법을 바꿀 수 있었습니다. 15세기에 백성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방향으로 국가 시스템을 계획하였다니 놀라운 일입니다. 세종의 최초의 여론조사 동양이든 서양이든 군주가 백성의 생각을 묻는 경우는 역사에 기록되지 않았더라도 많이 있었을 것입니다. 기록상으로 현대의 직접적인 최초의 여론조사는 1824년 미국의 대통령 선거 여론조사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이미 15세기 조선시대에 여론조사라는 것을 했었습니다. 이때가 세종 12년, 1429년의 여론조사입니다. 건국 된 지 겨우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