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반응형
전체 글 (200)
스토리이알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IFio/btqAq2ibV78/dn9WIWLOhSX0k67XcYqHZK/img.png)
오늘은 변동성완화장치(VI, Volatility Interruption)에 대해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변동성완화장치(VI)는 변동성이 너무 커지면 투자자들이 위헙을 감수하지 못할수 있음으로 되도록 급/등락이 발생될 경우 거래를 보다 안정감 있도록 완화시켜 투자자들에게 매수/매도를 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한마디로 "일시적인 방어막 역할을 해준다?" 라고 생각하시면 될듯 합니다. 변동성완화장치(VI)는 두가지 유형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 동적변동성완화장치(VI) : 특정 호가에 의한 순간적인 수급 불균형이나 주문착오 등으로 야기되는 일시적인 변동성 완화 - 정적변동성완화장치(VI) : 특정 단일호가 또는 여러호가로 야기되는 누적되고 장기적인 변동성 완화 ▶변동성완화장치(VI) 주요내용 동적 VI는 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0xA2R/btqAq2bveAL/zgVNfDKiYsTcfWAvTPL7Sk/img.png)
/etc/fstab 파일은 파일 초밥 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의 정보가 조금이라도 잘못 저장되면 부팅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etc/fstab 파일에서 설정되는 정보들 1. 해당파일시스템의 장치명(Device name) 설정 2. 마운트포인트 설정 3. 파일시스템 타입 설정 4. 파일시스템 마운트 시여부 5. 파일시스템 마운트 시 6. Quota정책 적용 여부 7. 일반사용자의 마운트 허용 여부 8. 부팅시 자동 마운트 여부 9. SetUID, SetGID설정 허용 여부 10. dump가능 여부가능여부 11. fsck로 파일 시스템 검 사히 검사 순서 설정 위에서 보듯이 "etc/fstab"파일은 총 6개의 필드로 구성되며, 각 필드의 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k0UB/btqAqg16nop/9A06IbdCL8uZ2ymj0HaIC1/img.png)
안녕하세요. 꿈꾸는 개발자입니다. 오늘은 오라클 DB 생성하는 방법을 포스팅하겠습니다. 2005년 서버 관리자로 일했던 내용을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혹시라도 잘못된 부분은 댓글 남겨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DB export exp kies/kies file=20191226.dmp log=20191226.log buffer=20480000 2. tblspace.sql로 용량 체크 및 산정(kies계정으로 안되면 sys계정으로) SQL> @tblspace.sql *설 명***************************************************************************** * tblspace.sql를 통해 현재 사용 중인 tablespace 구성을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