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이알피

연산군, 광해군은 왜 이름에 조, 종을 붙이지 않았을까? (묘호와 군호) 본문

정보

연산군, 광해군은 왜 이름에 조, 종을 붙이지 않았을까? (묘호와 군호)

Storyerp 2020. 11. 12. 16:11
반응형

연산군, 광해군

 

연산군, 광해군은 왜 이름에 조, 종을 붙이지 않았을까? (묘호와 군호) /ⓒ history.go.kr 

[연산군, 광해군은 왜 이름에 조, 종을 붙이지 않았을까? (묘호와 군호)]

 

우리는 세종, 영조, 고종 등 두 글자의 왕이름에 익숙해져 있습니다. 그러나 연산군과 광해군의 왕이름은 세글자이며 군으로 끝납니다. 즉 광해군, 연산군은 군호만 있고 묘호는 없는 것입니다.

물론 연산군과 광해군이 폐위되었기 때문에 그렇게 됐다는 것은 모든 사람이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자세한 과정은 모르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대해 설명합니다. 



광해군, 연산군의 묘호과 군호

 

'군호'는 왕의 아들일 때 주어진 이름입니다. 왕의 아들조차도 신하들이 함부로 이름을 말할 수 없기에 수양대군, 연산군, 광해군 등으로 불렀습니다. 

 

참고로 연산군의 '존호'는 헌천홍도경문위무대왕(憲天弘道經文緯武大王)이고, 광해군의 '존호'는 체천흥운준덕홍공(體天興運俊德弘功), 신성영숙흠문인무(神聖英肅欽文仁武), 서륜입기명성광렬(敍倫立紀明誠光烈), 융봉현보무정중희(隆奉顯保懋定重熙), 예철장의장헌순정(睿哲莊毅章憲順靖), 건의수정창도숭업(建義守正彰道崇業) 등 매우 많습니다. 

 

그런데 광해군과 연산군은 군호와 존호는 있지만 묘호도 없고 시호도 없습니다. 반면 세종은 묘호가 세종(世宗)이고 시호는 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英文睿武仁聖明孝大王)입니다.

그러므로 이쯤이면 묘호의 의미만 알면 연산군과 광해군의 왕이름에 왜 종, 조가 붙지 않는지 확인이 될 것입니다. 

 

'묘호'는 임금이 죽은 후에 그 업적을 기리기 위해서 붙이는 이름입니다. 즉, 후대가 왕으로서 인정하지 않는다면 묘호가 있을 수가 없습니다. 

 

알려져 있다시피 연산군과 광해군은 왕을 하던 중에 반란에 의해 쫓겨난 왕들입니다. 그러므로 그가 죽었을 때는 사람들이 그를 왕으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왕자 때 부르던 이름을 그대로 써 준 것입니다. 



예를 들어, 영조, 정조의 원래 묘호는 영종, 정종이었습니다. 하지만 고종 때 영조와 정조라고 이름을 고쳤습니다. 후대가 과거의 왕들의 이름을 정하는 것이 묘호라는 것이고, 이들은 죽은 사람들이므로 현대에 배우는 역사책에서는 죽은 후에 공식적으로 정해진 이름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제2대 왕인 '공정왕'과 제6대 왕인 '노산군'도 한동안 왕으로 인정받지 못하다가 숙종 때 정종과 단종으로 묘호를 준 적이 있습니다.

 

즉, 연산군, 광해군에게 조, 종이 없는 것은 후대의 사람들이 폭군이라 하여 왕으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새로 묘호를 정해주지 않은 까닭입니다. 

 

참고로, 묘호란 뜻은 廟號라고 쓰며, "사당의 이름"을 의미합니다. 죽은 사람의 사당이지만, 무덤을 뜻하는 '묘(墓)'와는 다릅니다. 그러므로 연산군과 광해군은 후대가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사당조차 인정되지 않는 왕들이라고 생각하면 정확하게 구별이 될 것입니다.



출처

반응형
Comments